해외행정우수사례

  1. 지방외교
  2. 국제화정보 DB
  3. 해외행정우수사례
  4. 국내행정사례
프린트 공유하기

해외행정우수사례

정화조 방충망 “모스키토존” 발명

작성자관리자 작성일2009-10-19
정화조 방충망 “모스키토존” 발명 기본정보
분야 분야없음
광역
출처
키워드
등록일 2009-10-19 15:29:31
최종수정일 2024-06-26 15:24:45
○ 목적

- 방역약품 남용막아 내아이 내환경 지킨다 -

 

  ○ 개요

        기존의 방역사업은 성충구제 위주의 분무소독사업, 연막소독 사업위주로 실시해 왔으며 기존에 실시하던 소독으로 효과의 검증이 없었고 또한 매년 분사되는 방역약품 및 경유의 사용량으로 인하여 환경의 오염이 매우 심각함을 느끼고  2005년 방역업무계획(05. 1월중)에 모기 유충구제사업에 비중을 두어 실시하기로 계획하였고 때마침 동구보건소의 월간보고 내용 중 좋은 아이디어로 시장님지시사항 제215호(05. 3. 7)로 울산 5개 구․군 보건소에 확대 실시가 지시되어 정화조 유충조사 사업이 대대적으로 실시되었다. 

 

  ○ 주요내용

   ○ 모기의 서식지 조사 없이 연중 계획에 따라 방역소독실시하고 있으며 민원요청 지역에 대해서는 민원해결 차원에서 무조건적으로 방역소독 실시해 왔다.

      1회 살포시 드는 비용을 분석해 보면

     분무소독 1병당 약값 18,000+휘발유 3ℓ (4,680원)+인건비(39,850원) = 62,530원, 연막소독 18,000+경유100ℓ (75,000원)+인건비(39,850원) = 132,850원이 소요됨을 알 수 있고 연막소독도 꼭 필요한 곳에만 실시해야 하고 홍보용(가시적인 효과)이 아닌 실질적이면서도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은 유충구제방식임을 알게 되었으며, 또한 공동주택 등 대형정화조에 모기 유충이 많이 번식하고 있어 동절기에도 모기민원 발생이 빈번 하여 기존 성충구제를 위한 무분별한 방역소독방식에서 정확한 모기발생지 조사에 의한 유충과 성충을 동시 구제하고 친환경적인 적절한 방역방법이 개선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느껴 정화조 유충조사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고 열의를 가지고 실시하였다.

     정화조 유충조사 방법은 2006년 연중 관내 정화조에 대한 유충조사를 실시하여 유충 발견시 방제를 실시 할 것입니다. 먼저 실시대상 정화조로는 관내 단독처리시설 정화조와 목욕탕 하수구 및 정화조 민원 다발지역 중심으로 실시할 예정이었다.

     방법 및 인원구성으로는 2인1조 편성하여 가가호호 방문하여 정화조 뚜껑을 열어 400㎖국자로 정화조수(물)을 떠서 10회 실시하여 유충존재여부를 확인하여 5마리 이상 발견되는 정화조에 박토섹(BTI-생물학적제제)을 방제하고 성충방제를 위하여 연막소독을 실시하였다.

  ▶ 동의 방역요원들에게 특별히 강조한 내용으로는

     유충이 확인되면 정화조 안(內) 바깥(外)에 연막 또는 분무소독을 실시해야 하며 7~10일후에 반드시 방제 여부를 확인할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재방문하여 방제현황을 확인하도록 강조하였다. 그런데 한번 방제후에 재방문한 정화조에 1차방제가 되었음에도 한달후쯤에 다시 방문하여 보니 다시 유충이 발생되었다는 곳이 여러곳 있었다. 정화조 뚜껑을 여는 것도 너무 힘이 들고 박토섹을 다시 넣는 비용도 만만치 않았으며 이래서는 안되겠다’ 모기성충이 들어가는 곳이 있으니 유충번식을 하고 유충이 성충이 되기 때문에 성충의 출입구를 찾게 되었다.


  ○ 정화조의 주변환경 및 형태를 분석하고 연막속을 실시하여 모기성충의 출입로가 정화조의 환기구임이 추측되어 환기구를 차단하기 위하여 시중에 있는 양파 망을 이용하여 환기구를 막아서 모기유충 및 성충 방제 후에 재발견을 관찰하였다.


     방충망 설치정화조에서 유충발견율은 전혀 발견되지 않아 방제 효과는 100퍼센트였다. (단, 실험군의 대상정화조 뚜껑이 관리가 잘된 정화조 선택하였다-오류감소를 위해) 또한 방충망 설치 안 된 정화조에서의 유충 재발견율 91.7%로 엄청 난 효과를 얻었다.

 ○ 실험결과로는 양파망 및 모형으로 실험결과 정화조의 모기성충출입구는 정화조 환기구임이 확인되었고 환기구를 차단함으로 모기의 생성을 막을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 모기가 발생하는 여러 정화조를 조사한 결과 건물 외부의 정화조 뚜껑으로 중소형 밀폐 식 정화조에서 발생하는 모기는 정화조의 환기용 파이프가 모기의 주요 출입구로 이용되고 있음이 관찰되었고 ‘한반도 동남부지역 정화조 내의 빨간 집모기군 발생과 정화조 환기통의 방충망 설치에 의한 방제효과 규명 → 이동규 (고신대학교 교수 보건환경학부) 

 

  ○ 기대효과

     모스키토 존의 기대효과로는

     방역소독사업의 성충구제에서 유충구제방식으로 방향전환으로 예산절감이 되고 분무, 연막소독에서 유충구제사업으로 모기서식지를 제거하여 효과를 얻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전환하여 친환경 방역사업을 조성하였고 무분별한 성충구제 방역소독 방식에서 유충구제를 통하여 환경오염방지 및 효율적인 방역실시하고 친환경약품(BTI)을 이용한 방역소독실시하였으며 유충구제 실시로 성충구제의 어려움 해소하고 방역효과 극대화 할 수 있고, 년중 지속적인 방역으로 민원불편 해소하였으며 북구청과 공동계약으로 경영수입이 증대되어 타기관 및 다른 직원의 귀감이 되었다.

 

  ○ 관련사진첨부

  


  

 

댓글

  • 담당팀 : 국제협력부
  • 담당자 :
  • 연락처 : 02-2170-6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