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행정우수사례

  1. 지방외교
  2. 국제화정보 DB
  3. 해외행정우수사례
  4. 환경
프린트 공유하기

해외행정우수사례

개인텃밭정책 시민간 만남과 연대의 장050512

작성자관리자 작성일2009-09-28
개인텃밭정책 시민간 만남과 연대의 장050512 기본정보
대륙 유럽 프랑스
출처
키워드
등록일 2009-09-28 11:37:17
최종수정일 2024-06-23 09:45:37
 

프랑스에 살다 보면 가끔 작은 텃밭들이 모여 있는 구역을 지날 때가 있다. 바둑판 모양으로 분할된 작은 터에는 토마토 등 갖가지 채소가 자라고 있고 또 한 구석에는 연장보관 등을 목적으로 세워진 작은 움막도 보인다. 멋지다는 느낌보다는 무언가 순박하고 투박한 삶이 느껴지는 곳, 그러면서도 참 깔끔하고 정돈된 느낌을 받는다.


이것은 일명 ‘가족정원'이라 불리는 임대텃밭들로서 프랑스에서는 비단 개인주택에 거주하지 않더라도 개인텃밭을 가지는 길이 이미 1세기 전부터 열려 있었다. 사실 코뮌의 입장에서 임대 텃밭을 보유한다는 것은 여러 가지 이점을 지니고 있다. 텃밭정책은 녹지창조와 보전에 대한 시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며 나아가 주민의 사회 생활에 생동감을 불어넣는 뛰어난 방편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임대텃밭의 수가 조금씩이긴 하나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1896년 창립된 ‘국립가족정원연맹'은 200여 개가 넘는 단체를 회원으로 보유하고 있다. 공익단체인 이 연맹은 텃밭관리 역할 이외에도 코뮌이 가족정원신설 계획 등을 세우고 진행함에 있어 적극적으로 나서서 지원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가족정원은 지방자치단체의 소유로서 수로, 연장 보관용 움막, 울타리 등 제반 시설 설치를 담당하며 관리는 국립가족정원연맹, 텃밭전문연합, 임대자연합 등에 맡기고 있다.


한편 텃밭임대주민들은 분양된 토지에서 각종 채소를 재배하게 되는데 개인소비가 아닌 상업적 목적을 가진 채소재배는 금지되어 있다. 또한 이들은 텃밭을 보기 좋게 관리하고 또 공동사용구역을 보살핀다거나 할 의무를 가지며 소정의 임대료를 내어야 한다. 규모 면에서 국립가족정원연맹이 관리하는 텃밭만 해도 7000여 곳(개별 텃밭 수)에 이르고 있으며 기타 연합이 관리하는 곳은 10만여 곳을 넘는다.


텃밭개발은 여러 가지 사회적 역할을 해내고 있는데 이것을 크게 세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우선 사회적 측면에서 텃밭은 시민들에게 만남의 장소를 제공한다. 텃밭임대자들은 이곳에서 이웃들과 교류하게 되고 이를 통해 시민간, 다양한 민족간의 교류와 융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마디로 텃밭이 일종의 시민학교의 역할을 담담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주말에 부모와 자식, 할아버지와 손자 손녀 등 가족이 함께 나가 일함으로써 세대간 연대의 장이 되기도 한다.


둘째 환경적 측면에서 텃밭은 도시 한 가운데에 자연과 함께 하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시민들에게 시각적 휴식처를 제공하고 있다. 사실 도시의 정원이나 공원들은 너무 완벽한 조경으로 인해 가끔은 삭막해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도시공간에서 우리가 일상적으로 대하는 채소에 싹이 트고 열매가 맺히는 모습을 보는 것은 큰 안식이 아닐 수 없다.


마지막으로 윤리적 측면에서 텃밭은 도시민들에게 계절의 리듬에 따라 변화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또 나아가 노동의 가치와 의미를 되새길 수 있게 해 준다. 가족정원은 가상세계에 익숙해져 버린 도시민들에게 세상, 현실과의 직접적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지방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수도권지역 연간 텃밭대여료는 100~150 유로 수준이다.



국립가족정원연맹 (FNJF)

1896 : 노르(Nord) 의원 쥘 르미르 (Jules Lemire 1853-1928) 신부가 노동자들에게 개인소비 야채를 스스로 재배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 프랑스텃밭연대를 창시하여 빠르게 전국적으로 확산된다.

1909 : 공익단체로 인가

1921 : '프랑스텃밭연대'가 '국립노동자정원연맹'로 승격.

1952 : '노동자정원'이라는 용어를 배제하고 '국립가족정원연맹(FNJF)'으로 개칭.

21세기 : 도시민들에게 땅과 직접 접촉하는 기회를 가져다주기 위한 노력 계속.


작성 : 손미혜

 

댓글

  • 담당팀 : 국제협력부
  • 담당자 :
  • 연락처 : 02-2170-6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