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행정우수사례

  1. 지방외교
  2. 국제화정보 DB
  3. 해외행정우수사례
  4. 국내행정사례
프린트 공유하기

해외행정우수사례

민간단체 중심 문화예술진흥

작성자관리자 작성일2009-10-23
민간단체 중심 문화예술진흥 기본정보
분야 분야없음
광역
출처
키워드
등록일 2009-10-23 13:20:31
최종수정일 2024-06-02 18:05:33

민간단체 중심의 문화예술 진흥 시책마련


○ 목적

     실물 중심의 압축 성장기로 대변된 20C를 거치면서 당시 정치의 중심도시였던 우리 대구는 문화적 가치에 대한 인식 수준 저하와 행정기관에 의한 획일적이고 일방적인 문화예술 진흥 정책 실시로 지역문화의 특성과 독창성의 약화는 물론 지역소재 문화예술단체의 독자 생존의지와 창의․창조성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21C를 맞이하여 사회 전반에 걸친 지방화‧도시화‧정보화‧세계화의 전개로 지방자치제가 정착단계에 진입, 지방분권이 가속화 되고 그리고 주40시간 근무제 확대 실시에 따른 여가시간의 증대와 삶에 대한 가치기준의 상대적 변화에 따라 시민들의‘정신적으로 풍요로운 삶’에 대한 소비 욕구는 이제 참여와 창작욕구로까지 확대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참여와 창작욕구는 단순히 행정기관에서 전문예술단체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 확대를 통해 문화예술활동의 횟수와 규모를 늘리는 것으로는 해결할 수가 없고 오히려 이러한 행․재정적 지원 확대는 결국 세수확대를 통한 시민 재정부담 증가와 재정 지원을 받는 문화예술단체에 대한 간섭 증가로 부정적 효과만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제 관 주도로 만들어진 문화예술을 보다 많은 사람이 향유하는데 목표를 두었던 ‘문화의 민주화’제 민간이 주체가 되어 창조자이며 소비자인 즉 프로슈머(Prosumer) 자격으로 참여하는 ‘문화민주주의’의 급속한 질적인 변화를 유도하여야 하는 것이 피할 수 없는 당면 과업으로 대두되어 시민, 민간기업, 문화예술단체가 주체가 되는 문화예술진흥시책을 마련하였다.


○ 주요내용

 1. 대구메세나협의회 구성 및 지원시책 마련


  가. 메세나(Mecenat)의 의미와 현 주소

     메세나는 고대 로마제국의 정치가, 외교관으로서 문예보호․진흥에 전력한 Gaius Cilinius Maecenas의 이름에서 유래한 프랑스어로 예술과 문화, 과학에 대한 두터운 보호와 지원을 의미하고 있으며 현대에 와서 스포츠지원과 사회적․인도적 입장에서의 공익사업 지원을 포괄하고 있다.

     문화예술분야는 경제적 효율성을 기준으로 한 시장원리에 의존할 수 없는 사업으로 공공지원 위주의 시행은 결국 세수확대로 이어져 시민 부담을 가중시키고 재정지원에 따른 민간 예술 활동에 대한 통제와 간섭은 순수예술의 창의성을 훼손하여 첫째, 기업이 이미지 개선과 생산 상품․서비스 브랜드의 사회적 인지도 제고를 위한 문화예술 투자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둘째, 문화예술단체는 기업 지원을 기반으로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예술 활동을 보장 받으며 셋째, 시민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양적, 질적 향수 기회 확대를 위해 기업 메세나의 활성화 시책이 필요하며 국내 메세나협의회 구성 현황 및 실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한국메세나협의회

     - 창  립 : 1994년 삼성, 금호그룹 등 167개사로 설립(2004년 190개)

     - 조  직 : 회장(空席), 이사(28명), 사무처

     - 사업목표

       ․ 문화를 통한 사회 공헌 인식의 확산, 대중 속에서의 메세나 운동 활성화

       ․ 국제 유대관계 강화로 메세나 운동의 글로벌 이미지 확산

      - 역점추진사업

       ․ 메세나운동과 문화환경 조성사업의 지속적인 전개

       ․ 회원사 인센티브 제공 및 컨설팅 강화를 통해 실질적 참여 확대

       ․ 국제대회 유치, 국제 포럼 개최로 국내외 메세나 운동 확산

       ․ 국민인식 제고로 회원 확충 도모

       ․ 메세나 활동 연구․조사와 기업의 문화예술지원 필요성 논리 개발

   2) 지역메세나협의회

     - 전주(2003년), 광주(2004년)메세나협의회는 지역의 예술단체총연합회가 주축이 되어 메세나협의회를 창립하였으나 기업의 공감대와 사업프로그램 부족 등으로 활동이 부진

     - 인천광역시는 민선 3기 자치단체장의 공약사항으로 인천메세나협의회 창립을 2003년부터 준비 중에 있으나 전반적인 경기침체와 분위기 미성숙 등으로 답보 상태

  3) 국내 메세나 사업 현황

    - 연도별 메세나 사업 추이

(단위 : 건, 백만원)

구      분

1997

1998

1999

2000

2001

지원액

107,785

92,573

138,228

62,653

92,936

건  수

1,128

622

1,159

1,050

1,045

문화시설

지원액

34,628

49,500

94,943

17,342

64,065

건  수

11

2

17

13

19

예술행사

지원액

73,157

43,073

43,285

45,311

28,871

건  수

1,117

620

1,142

1,037

1,026


    - 분야별 메세나 사업 현황

(단위 : 건, 백만원)

구 분

국악

전통

음악

대중

음악

무용

연극

문화

교육

미술

영상

축제

행사

기타

건수

2,052

41

634

66

238

97

231

159

541

45

금액

73,344

771

13,377

2,063

8,532

14,407

12,490

3,488

6,347

11,869

‘01년

건수

1,026

20

298

50

105

30

85

127

275

36

금액

28,871

679

6,633

924

2,268

2,463

2,303

1,613

1,530

10,458

’02년

건수

1,037

21

336

16

133

67

146

32

266

20

금액

45,306

922

6,744

1,139

6,264

11,944

10,184

1,875

4,817

1,417

    ※ 2004년 한국메세나연감 자료 발췌

    - 대구지역 메세나 사업 현황

      ․ 지역 기업, 문화재단과 개인의 공식적 메세나, 기탁 실적 없음

       2004년 메세나 연감에 전국 100개 기업, 23개 문화재단의 메세나 실적과 개별 지정 기탁 실적(507건 5,638백만원) 등재되어 있음


  나. 대구메세나협의회 구성 및 지원 계획

   1) 대구메세나협의회 구성

     대구메세나협의회는 2006년 발족을 목표로 우선 대구상공회의소 회원사 중 선도기업 10개사 정도를 중심으로 지역 언론사와 연계하여 발족위원회를 구성하여  설립 준비과정에서 기업과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홍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참여를 원하는 모든 지역 기업과 시민들은 자율 의사에 의거 가입 할 수 있다. 물론 이 과정에서 기업과 문화예술단체는 전적인 자율 의지로 구성 활동과 회원 참여를 실시하며 우리 시는 단지 설립까지의 단순 행정 지원만을 시행 한다.

   2) 메세나 사업 활성화 지원

     대 기업의 수도권 집중, 지역 경제 여건 등으로 문화예술사업에 대한 재정 후원 위주의 메세나 사업은 한계가 있으며 기업의 공감대 없이 문화예술단체 또는 자치단체가 주체가 되어 설립된 메세나 협의회는 운영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없음으로 메세나 플랫폼 및 프로그램의 마련, 문화예술프로그램 아카이브 구축 등 기업과 문화예술단체를 결속시킬 수 있는 사업의 시행을 통해 지역 기업의 메세나를 활성화시키고자 한다.

    가)메세나 전용 플랫폼(문화마당) 제공

     - 시민접근성이 높은 장소를 중심으로 메세나 플랫폼 마련

     - 시 운영 공공 전시, 공연장 메세나 사업 편의 제공

   나)메세나프로그램 개발

    - 지역 정체성 구현과 전통 보전․계승 및 시민과 함께하는 메세나 프로그램 개발

    - 문화예술프로그램 아카이브 구축 및 공시

       ․ 기업과 문화예술단체를 서로가 필요로 하는 문화예술사업에 대한 자료를 집적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 창작활동과 후원사업 시행의 편의 제고

       ․ 기업의 이미지 마케팅, 사내 문화행사, 직원의 문화여가 등을 문화예술단체의 창작활동과 연계시켜 문화예술단체와 기업의 상호 교류를 증진

   다)1사 1문화 파터너쉽 조성

     - 기업 이미지(문화)에 맞는 1사 1문화장르 후원 운동 전개

       ․ 기업이미지와 마케팅 전략에 맞고 소속 직원들의 선호도가 높은 문화예술장르를 선정하여 매칭그랜트 또는 메세나 전략 장르로 육성

     - 1사 1문화예술단체 자매결연 유도

       ․ 기업의 문화사업 역량과 관심 장르에 적합한 문화예술단체를 선정하여 1사 1문화단체 자매결연을 유도함으로 기업의 사내문화행사, 문화예술단체의 창작 발표회 등을 연계하여 상호 지원협조를 유도

     - 기업 메세나, 지정기탁 등의 문화예술 후원사업 투명성 확보

      ․ 메세나 수혜 문화예술단체는 사업 결과와 후원금 집행 내역을 명확히 한 사업결과를 후원 주체에 제출함으로 사업 투명성 확보를 통한 상호 신뢰 증진


 2. 공립문예회관 상주단체 운영 제도 도입

  가. 상주단체 운영의 의미

     대규모 문예회관이 각 자치단체에 건립․운영되고 있으나 시설의 활용도가 낮아 이를 제고하고 민간예술단체들에게는 안정된 공연장과 경제적 안정을 제공하기 위해 공연인프라와 공연예술단체가 상호 신뢰와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공연장 공간의 사용범위, 공연장 사용일수, 사용비용, 공연사업계획, 업무분장, 홍보와 마케팅, 대관료, 이익분배 등에 관한 세부 계약을 체결하여 상호 보완적․발전적 관계를 정립하여 공연장에 예술단체가 상주하는 제도로서 공연장에 전속되어 공연장의 조직과 직제에 포함되어 있고 운영비용이 공연장 운영비에 포함되는 전속단체, 공연장 시설 임대차 계약을 맺어 단지 입주해 있는 법률적 임차인과는 다른 제도이다.


  나. 대구지역 문예회관 운영 실태와 발전방안

   ○ 문예회관 운영 실태(2004년 기준)

    가) 대구광역시

문화예술회관

오페라하우스

시민회관

개관년월일

1990. 5.21

2003. 8. 7

1975. 10. 5

재 정

현 황

(백만원)

수    입

768

478

266

지    출

6,818

3,338

1,609

자 립 도

11%

14%

17%

년 간

사 용

일 수

대공연장

1,090석 - 168일

(자체 67, 대관 101)

가동율 63%

1,508석 - 203일

(자체 88, 대관 115)

가동율 70%

1,618석 - 239일

(자체 13, 대관 226)

가동율 65%

소공연장

320석 - 111일

(자체 3, 대관 108)

가동율 34%

 

342석 - 190일

(자체 14, 대관 176)

가동율 52%

    나) 구․군 문예회관(7개소)

      - 중구 봉산문화회관  : 대공연장 448석 가동율 66.6%

      - 동구 문화체육회관  : 대공연장 1,165석 가동율 64.3%

      - 서구 문화회관      : 대공연장 518석 가동율 67%

      - 남구 대덕문화전당  : 대공연장 644석 가동율 54.6%

      - 북구 문화예술회관  : 대공연장 494석 가동율 83%

      - 달서구 첨단문화회관 : 대공연장 455석 가동율 37.8%

     지역 공연예술의 대표적 유통공간인 문예회관은 지속적으로 확충되고 있으나 운영 가동율은 미흡하며 운영시스템의 비전문성, 사업예산 및 운영프로그램의 부족으로 대부분 대관에만 의존하므로 투자비에 비해 수입이 저조하여 타 시․도 문예회관과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없음


○ 기대효과

     문예회관과 민간예술단체간의 상주 계약제를 도입하여 우수한 상주단체가 문예회관을 운영함으로 문예회관의 대외적 홍보 및 안정적인 수입을 확보하고 가동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주단체와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공동 개발 운영함으로 시민들의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시키고자 함


댓글

  • 담당팀 : 국제협력부
  • 담당자 :
  • 연락처 : 02-2170-6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