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행정우수사례

  1. 지방외교
  2. 국제화정보 DB
  3. 해외행정우수사례
  4. 국내행정사례
프린트 공유하기

해외행정우수사례

제주 양식넙치 브랜드 개발

작성자관리자 작성일2009-10-23
제주 양식넙치 브랜드 개발 기본정보
분야 분야없음
광역
출처
키워드
등록일 2009-10-23 09:58:21
최종수정일 2024-06-11 13:21:52

손바닥선인정』을 이용한

 제주 양식넙치 대표 브랜드 개 발


○ 목적

  □ WTO/DDA, FTA 체결로 인한 농․수산물 무한 경쟁시대 진입

  ꠏ 농업과 양식업의 공생(共生) ⇒ 윈-윈(Win-Win) 마인드 혁신 

  □ 항생제 남용으로 소비자의 먹거리(양식넙치) 안전성에 대한 불신 팽배

  ꠏ 항생제 저감사용 등 친환경 양식수산물 생산 마인드 전환

  □ 양식넙치 브랜드 미개발로 인한 세계일류상품의 상징성 약화

  ꠏ 대표 양식넙치 브랜드 개발로 적극적 소비시장 개척 마인드 전환

  □ 세계일류 상품 양식넙치 유통 혁신을 통한 양식산업 경쟁력 강화

  ꠏ HACCP 및 생산이력제(Traceability) 운용으로 브랜드가치 향상 및

     양식차별성 강조 

  □ 생사료 사용으로 양식장 배출수의 바다오염 논란 지속

  ꠏ 환경친화적 사료(EP)개발․보급으로 지역 어민들과의 갈등 해소


○ 개요

  □ 손바닥선인장(제주도기념물35호)의 기능성(항염증, 항종양, 콜레스테롤저하, 혈당저하 등)을 양식넙치에 활용하여 친환경 넙치 양식산업 구현

  □ 손바닥선인장의 기능성과 양식넙치 생산과정의 투명성(HACCP & 생산이력제 도입)을 접목하여 양식수산물의 안전성 확보

  □ 제주지역 손바닥선인장을 활용한 양식넙치 대표 브랜드 개발 및 국․내외 인지도 강화

  □ 손바닥선인장을 활용한 기존의 저효율 양식급이(생사료급이)에서 탈피, 고효율․친환경 양식사료(고형사료)로 개발, 선인장농가의 새로운 소득원 창출


○ 주요내용

  선인장발효물 양식사료 첨가제 양식현장 보급 (산업화)

    - 선인장발효 양식사료 첨가제(장수 백년초) 도내외 보급 확대 

    - 선인장농가 지속적 소득원 창출

  양식넙치 브랜드 개발

    - 세계일류상품 제주 양식넙치 지역 대표 브랜드 개발 

    - HACCP 및 생산이력제(Traceability) 도입, 브랜드 가치 향상

    - 맛(육질) 차별화 및 기능성 입증으로 브랜드 가치 향상

    - 친환경 생산 가이드 설정에 따라 고품질 넙치생산으로 브랜드가치 향상

    - 개체식별장치(꼬리표) 부착으로 생산이력정보 제공 및 브랜드가치 향상

    - 국내외 수산물 전시회 참가 등으로 브랜드 인지도 강화

  선인장을 활용한 양식어류 고형사료(EP) 공동 개발

    - 기존의 생사료(MP사료)에 비해 고형사료(EP)가 갖는 성장둔화 현상을 선인장을 활용함으로써 극복

    - 양식넙치, 돌돔, 송어 등 양식어에 활용, 개발


○ 기대효과

  □ 생산이력제(Traceability System) 리스크(Risk) 저감 및 양식어류 위생관리를 위한 위해요소중점관리시스템(HACCP) 개발로 세계일류상품 제주넙치 브랜드가치 (백년초광어, Saboten - Hirame) 극대화 추진

  □ 양식넙치 개체식별 시스템 개발로 생산이력 정보제공

  □ 계약재배 및 생산예고제 실시로 안정적 선인장재배 유도

  □ 넙치, 돌돔, 송어 등 품종별 배합사료(EP) 개발로 선인장판로 극대화 추진


댓글

  • 담당팀 : 국제협력부
  • 담당자 :
  • 연락처 : 02-2170-6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