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행정우수사례

  1. 지방외교
  2. 국제화정보 DB
  3. 해외행정우수사례
  4. 환경
프린트 공유하기

해외행정우수사례

쓰레기 매립장의 공원(Park)개발

작성자관리자 작성일2009-10-09
쓰레기 매립장의 공원(Park)개발 기본정보
대륙 북미 미국
출처
키워드
등록일 2009-10-09 09:47:06
최종수정일 2024-06-24 18:33:01

 

쓰레기 매립장의 공원(Park)개발


Fresh Kills Landfill 공원개발


. Fresh Kills Landfill 현황

치 : 뉴욕시 Staten Island

모 : 2,200에이커(8.9㎢)

- 쓰레기 매립 : 1,200에이커(4.86 ㎢)

- 당초 계획은 3,000에이커(890ha, 12.14㎢) 였으나 1980년 규모 축소

- 맨하탄의 센트럴팍(Central Park, 843 에이커)의 2.6배에 달함. 중국의 만리장성 규모보다 더 큼

- 자유의 여신상(Statue of Liberty) 보다 25m 높음

1일 매립량 : 29,000톤

근무인원 : 680여명 근무

- 1948년 쓰레기 매립 시작(뉴욕시의 주요 쓰레기 매립장)

*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총생산량은 급속도로 늘어났고, 이에 따라 뉴욕시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의 양도 증가하게 됨. 따라서 당시 뉴욕시의 "Park Commissioner" 였던 “Robert Moses"의 제안에 따라 스태튼 아일랜드(Staten Island) 북쪽에 위치한 Fresh Kills에 뉴욕시의 쓰레기 매립을 시작 함

- 2001. 3. 22 매립장 폐쇄(당초 2001. 12. 31일 폐쇄예정 이었음)

* 지역의 반발 및 환경청(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 EPA)에 의해 폐쇄

* 2001년 911 테러로 무너진 무역센터(World Trade Center) 잔해를 매립하기 위하여 임시 개장, 잔해 120만톤 매립

* 매립장 폐쇄 후 뉴욕시의 쓰레기는 인근의 펜실베니아(Pennsylvania)주와 버지니아(Verginia)주로 반입


. Fresh Kills Park Project

사업의 추진 주체 : 뉴욕시 3개 부서

- Department of Parks & Recreation

- Department of Sanitation

- Department of City Planning

2001년 메립장의 폐쇄와 더불어 뉴욕시는 같은해 12월에 ‘Fresh Kills Parks' 개발을 위한 마스터 플랜(Master PLan)을 국제적으로 공모하여 3개 사를 컨설턴트 사로 선정하였으며, 2003. 6월 최종 ‘Field Operations'사를 선정함

2003. 9월 블룸버그 시장이 ‘Fresh Kills Parks' 개발계획을 공식 발표

2005. 1월 스태튼아일랜드 보로장(Staten Island Borough president)인 “James Molinaro”은 교통 환경 개선을 위한 매립장(Fresh Kills Landfill)내 도로 개설 계획을 발표

- 이 계획에 대한 검토가 2007년 가을까지 이루어 질 예정이며, 환경영향평가(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EIS) 결과가 2008. 11월 발표될 예정임

- 2009년 착공 목표


* 환경영향평가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1969년 제정된 Natonal Environmental Policy Act(NEPA)에 의거, 개발에 따른 미래 자연환경 및 인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야 함. 이 조사결과는 공표되며, 계획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 자료가 됨


2006. 9월 공원개발을 위한 ‘The Fresh Kills Park Administrator'를 임명하여 공원개발에 대한 업무를 관할하도록 함

공원은 단계적으로 개발되며 쓰레기가 분해되는 시간을 감안하여 사업추진기간이 30년 소요될 것으로 예상

- 1단계(2016년) : 도로 등 기반시설 공사 및 북남쪽 공원개발

- 2단계(2036년) : 총괄적인 공원개발 완료


* 매립장 가스(Landfill Gas)의 관리

매립장의 유기물 분해로 인해 발생하는 메탄(methane) 가스와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가 자연상태로 방출되어 공기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뉴욕시 “Department of Sanitation”는 메탄가스를 정화하여 스태튼아일랜드 지역에 공급


Fresh Kills 공원개발에 참여한 디자이너와 설계자들은 미국의 쓰레기 매립장의 공원 개발 사례를 연구하고, 다양한 커뮤니티의 제안을 참고하여 공원개발 계획에 반영.



<거><현재><미래>


. 쓰레기 매립장(Landfill)의 주요 공원개발 역사

1916년 : 시애틀(cith of Seattle) “Rainier Landfill”의 “Rainier Playfield” 개발

1936년 : 뉴욕시 퀸즈(Queens) 보로의 “Corona Dumps"의 ”Flushing Meadows Corona Park" 개발

- 공원개발 후 1939~1940 “New York World's Fair”와 1964~1965 “New York World's Fair”를 개최함

2000년 : 보스톤시의 “Gardner Street Landfill”의 “Boston's 100 acre Millenium Park” 개발

2006년 : 샌프란 시스코 만(San Francisco Bay)의 “East Shore Park” 개발

- 2,002 에이커(8.1 ㎢) 면적의 길이 8.5마일(13.7 km)의 개발사례로 해변, 늪지 등이 있음끝.

댓글

  • 담당팀 : 국제협력부
  • 담당자 :
  • 연락처 : 02-2170-6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