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행정우수사례

  1. 지방외교
  2. 국제화정보 DB
  3. 해외행정우수사례
  4. 환경
프린트 공유하기

해외행정우수사례

뉴욕시 환경관리11(자마이카 베이 보호)

작성자관리자 작성일2009-10-05
뉴욕시 환경관리11(자마이카 베이 보호) 기본정보
대륙 북미 미국
출처
키워드
등록일 2009-10-05 15:11:17
최종수정일 2024-06-15 04:50:49
 

뉴욕시 환경관리 -11 (자마이카 베이 보호)


뉴욕시 의 관문 JFK공항 과 인접한 자마이카 베이 (Jamaica Bay)는 81㎢ 면적의

물과 섬, 늪 그리고 해변에 214종의 동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여기엔 연방 및

주정부 지정 멸종위기 동물도 포함되어있다.


자마이카 베이는 대서양 공로이동상에서 새들이 잠시 멈춰가는 지역일 뿐

아니라 지구 서반구지역 중 조류관찰 최적지로서 유명하다.


현재 자마이카 베이 어귀면적은 식민지 시대의 절반수준으로 줄어들었고

생태학적 특징으로 정의되었던 염소 (염성 소택지)는


< 자마이카 베이 주변도 >

1.허드슨 리버 2.이스트리버 후러싱 만

 3.롱아일랜드해협,4.뉴욕만5.상부 뉴욕만 6.하부 뉴욕만, 7.자마이카 베이 8. 대서양점점 더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지난 150년 넘게 내부의 습지대 섬들과 주변 습지들은 대규모 매립작업으로

영원히 사라져 버렸다. 자마이카를 구성하고 있는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는 것 이다. 이에 뉴욕시는 자마이카 수변보호 계획을 수립 자마이카베이 생태계 보호

에 나서고있다.

2005년 7월20일 마이클 블름버그 시장이 서명한 시법 71에 따라 자마이카 베이

수변 보호계획(Jamaica Bay Watershed Protection Plan : JBWPP)이 수립되게

되었으며 이 계획수립 과정의 일부로서 뉴욕시 환경보호국이 다양한 보호조치의

법적, 환경적,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는 역할을 맡게 되었다.


이법의 목적은 자마이카 베이 지역 수질의 회복과 관리 그리고 생태계 통합에

대한 종합적 수변관리를 위한 것이다.


이 자마이카 수변 보호계획은 자마이카 베이에 대한 현재와 미래의 위협요인을

평가하고 이에대한 환경적 치유와 보호노력이 종합적이고 비용효과적인

방법으로 조정 통제되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질소 부하량 감축


o 자마이카 수질오염관리설비에 탄소 설비 추가


 뉴욕시 환경보호국은 자마이카 수질오염 관리설비에 종합적 자마이카 베이

수질보호계획 (CJBWQP)의 일환으로 질소부하량 감축을 위한 카본을 추가할

계획이다


이러한 조치는 총질소량을 감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와 현재 자마이카 베이로

방류되는 질소량 감축에 큰 도움을 주게된다


o 슬럿지 처리과정 최소화


 시 환경보호국은 자마이카 베이에서 나오는 슬럿지 수송을 최소화 할 계획이며

더 이상 보워리 베이 (Bowery Bay) 와 톨맨아일랜드 (Tollman Island)에서

자마이카 베이로 슬럿지를 운반하지 않을 계획이다.


o 조류및 파래 수집을 위한 예비조사

 조류는 1:6의 비율로 질소를 포함하고 축적된 파래류는 잠재적으로 염소의 초목들을 질식시키게 한다. 제한적인 시간과 공간범위에서 이들을 걸러내는 스키머 보트가 사용되어 물에 축적된 조류, 파래들을 걸러낸다.

예비조사를 통해 스키머 보트사용이 이러한 식물류를 제거하는데 있어 비용효과적이고 타당성이 있는지 결정할 게획이다.

 

 스키머 보트

이들 조류, 파래들의 제거는 자마이카 베이의 미관저해 요인을 제거하는 한편,

제거된 물질을 바이오연료로 활용할 수 있게한다.


 o 조류 층 청소기 (Algal Turf Scrubbers)

 조류층 청소기는 생태학적 기반의 기술로서 방류되기전 처리된 하수분량에

대해 20%까지 추가적 총 질소량을 제거 할 수 있다. 소류모의 조류층 청소기가

수질오염 관리 설비에 시범 설치되어 이 청소기의 추가설치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o 굴 (Oyster) 및 거머리말류 (Eel Grass) 회복을 위한 예비조사

 굴은 그 생존과정에서 주변에 있는 물질을 변화시키는 능력을 가진

생태엔진으로 알려져 있다. 한 개의 다 자란 굴은 시간당 약 2.5갤런의 물 또는

하루 35갤런의 물을 거를 수 있으며 굴이 흡수한 질소량의 20%를 제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 자연적인 굴의 필터링 능력은 거머리말 류 근처

물기둥으로부터 질소를 제거하고 퇴적물의 퇴적을 정지시키며 거머리말 류가

자라는데 있어 충분한 환경적 조건을 제공할 수 있게된다.


최근의 연구들은 이러한 자연회복에 대한 잠재적 효과를 인정하고 있는데 시는

굴및 거머리 말류 회복을 위한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o 늑골홍합 (Ribbed Mussel)회복 예비조사

 또한 늑골홍합 여과능력과 필요 밀도등에 대한 연구 검토도 실시할 계획이다.


혼합하수 범람억제 및 병원균 차단


o 26th Ward 하수처리장(WPCP) - 1일 5000만 갤런 확대

 26th Ward 하수처리장 우기시 처리능력을 1일 1억 7천만 갤런에서 2억 2천만

갤런까지 처리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 할 계획이다. 이는 새로운 염소

투하실과 예비정화탱크 그리고 다른 관련설비의 추가시설을 수반하게 된다.


o 패르디갓 (Paefdegat) 혼합하수 저수설비

 뉴욕시 환경보호국은 현재 패르디갓 하수 저수지 인근에 오프라인

혼합하수범람시 이를 일시 저장할 저수 설비를 건설하고 있다. 이 설비는

패르디갓 저수지 출구를 통해 방류될 1일 5000만 갤런이상의 범람하수를

일시 거치,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폭우가 그치면 거치된

범람하수는 코니 아일랜드 (Coney Island) 수질오염관리 설비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o 락웨이 (Rockway) 수질오염관리설비에 보트 펌프아웃 시설 추가설치

 자마이카 베이에서 개인 보트들이 종종 하수를 직접 펌프로 자마이카 베이에

퍼내고 있다. 이러한 폐수들은 분뇨들과 함께 높은 수준의 병원균을 포함하고 있다.


청정선박 행동 프로그램(Clean Vessel Act Program)으로부터의 매칭펀드를

활용해 지역 보트 이용자에게 무료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해 시 환경보호국은

자마이카 베이에 두 개의 펌프아웃 시설을 설치했다.


시 환경보호국은 현재 락웨이 수질오염관리 설비에 제3의 펌프아웃 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며 뉴욕주 환경보호국의 허가를 받고있는 중이다. 뉴욕시

환경보호국은 네 번째 펌프아웃 시설을 위한 장소를 물색 중이며 이는 자마이카

베이가 보트로부터의 폐수방류가 없는 무 방류지역으로 지정되게 될것이다.


하류 집수지내 용존 산소량 증진


o 핸드릭스 개천 (Handrix Creek)준설 및 정비

 핸드릭스 개천에는 개천 상단부에 대규모 혼합하수 범람으로 인한 퇴적물이

쌓여있다. 뉴욕시 환경보호국은 핸드릭스 개천 준설을 위한 퇴적물 제거작업에

이어 개천바닥에 깨끗한 모래를 포설 할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는 수질을

개선하고 또한 혼합하수 범람으로 생긴 역겨운 냄새를 제거해 줄것이다.


과학적 모니터링 프로그램 개발


 o 파트너쉽을 통한 최신 모니터링 방법 개발

 자마이카베이 수변지역의 생태계 보호를 위해서는 학계와 정부기관의

협동노력이 필수적이다.


시 환경보호국은 환경협력국, 연방공원국, 미 육군공병단 그리고 다른 기관

단체들과 모니터링 노력에 협력함으로서 모니터링 효과를 극대화 할것이며

자마이카 베이에 대한 학생과 대학교 교직원들의 연구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학술기관과 협력할 계획이다.


 1년 이내에 시 환경보호국은 최신 수질 및 생태계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개발 할 것이며 다음요소들을 모니터링 항목에 적용할 계획이다.

 - 개선된 수질 샘플링, 침전물 샘플링, 생물학적 생태계 모니터링 그리고

염소 모니터링


 또한 시 환경보호국은 예비조사를 완료하고 자마이카 베이와 뉴욕항구의

부유물질 모니터를 위한 대대적 프로그램을 추진할 계획이다.



염소 섬들의 회복


 o 염소 습지 우선 회복 평가위원회 구성

 

자마이카 수변지역 보호계획 완성 후 6개월 이내에다양한 기관과 지방 환경그룹 대표로 구성된 염소섬, 습지 우선회복 평가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이 위원회는 자마이카 환경 회복논리를 재검토하고 습지회복 우선순위 리스트를 작성 하게 된다

 자마이카 베이 염소섬과 모래언덕

현재까지의 데이터에 기초해 상대적으로 안정된 것으로 보이는 습지대는

회복가능성에 더 많은 고려가 주어져야 하는데,이는 이러한 습지대가 가장 많은

잠재적 완충능력과 장기적 안정에 대한 현실적 기대를 갖게 하기 때문이다.


 o 염소섬 파도감쇠 예비조사

 뉴욕시 환경보호국은 염소 섬 주변에 파도 감쇠기를 설치하는 것이 습지손실

방지율을 저하시키는데 있어 비용 효과적인지 그리고 이 감쇠기가 늪지에

퇴적물을 억제할 수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예비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최근 회복된 염소 섬들은 바람과 조력에 의한 피해에 매우 취약한데 이는

섬내에 식물분포가 제한되어있고 발달하지 않은 뿌리를 고정시켜 주는 침전물이

부실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들은 겨울기간동안 얼음덩이 들이 흘러 섬을

침식시키기도 한다


지오 텍스타일(geotextile) 천, 임시부유 방파제 또는 다른 생물분해를 일으키는

물질 사용을 통해 이러한 늪지의 취약성을 효과적으로 보강할수 있게된다.


 o 주변 지역 보호


퀸즈의 에지미어 (Edgemere) 구역에 있는 총 10에이커 에 달하는 미개발 토지

들은 현재 뉴욕시 주택개발 및 보존국 (HDD) 소유이다. 뉴욕시 환경보호국은 HDD와 DPR(공원휴게국) 과 함께 이 필지들을 개방공간으로 보호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 


이 지역을 보호하는 것이 쓰레기 무단투기를 방지하고 향후 정원과 같은 곳으로

활용할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자마이카 베이와 육지와의 연결성을 높여주게 된다.


 o 클러스터(Cluster)지역의 회복과 토지획득노력

시는 자마이카베이 주변 1마일 반경 내에 있는 공공 및 민간소유 토지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한바 있다. 이 조사 및 평가는 자마이카 베이 근처 토지들 중

가장 환경적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획득 가능한 토지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면적과 자마이카 베이 접근성, 또한 기존 공원과 녹지에 대한

접근성이 고려되었다.


이 토지들은 종합적으로 클러스터지역 (Cluster Area)명명되었으며 214개

필지 208 에이커가 토지 획득 적합지역으로 파악되었다. 시 환경보호국은 시의

다른 부서와 함께 이 클러스터 지역을 평가할 것이며 각각의 필지가 장래

환경적 이익을 제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판단이 내려지면, 자금지원이 가능한

한 민간토지를 구입, 지속적으로 클러스터로 개발할 방침이다.


 0 씨거트 애브뉴 (Seagirt Avenue) 습지 토지매입

 자마이카 베이 수변보호계획은 파어락커웨이, 퀴즈 지역의 경사지, 해변,

주변습지, 연못, 상부 복토지와 함께 조수물이 드나드는 시내 개천을 포함한

씨거트 애브뉴 습지 부근 토지를 구입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이 지역은 뉴욕/뉴저지 항구 하류 프로그램의 구입대상 토지 중 최우선

구입대상으로 고려되고 있으며 뉴욕주 토지구입대상 필지 리스트에도 올라있다.


 o 자마이카 베이 늪지 섬 생태계 복원완료

 8개소의 자마이카 베이 생태계 조사 및 회복 대상지역은 미 공병단에 의해

자마이카 베이 지역주변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회복해야 할 지역으로 파악되었다.


이 지역들은 심도있는 평가과정을 거쳤으며 환경적 이익과 잠재적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이 프로젝트를 위해 개념계획과 비용이 이미 마련되었다.

엘더스 포인트 이스트 (Elders Point East)의 자마이카 베이 습지섬 생태계

프로젝트는 2006년 완료되었으며 엘더스 포인트 웨스트는 2008년에 완료될

예정이다. 


 o 회복대상 지역 탐사 및 목록화

 자마이카 베이 수변지역내의 토지획득 및 복원을 위해 추천된 지역의 세밀한

목록이 자마이카 수변 보호계획 일환으로 편찬되었다. 이 목록은 자마이카 베이

보호 및 복원목록으로서 계속 업데이트 될 것이며 시 및 관련기관과의

협조 및 토지구입우선순위 선정 등을 위해 사용될 것이다.


 o 모래언덕 및 해변 서식지 목록작성 및 업데이트


 해변과 모래언덕은 파도와 바람에 의한 침식을 막아주는 천연완충지이며

바람에 의한 침식과 퇴적으로 인해 급속히 변화하는 역동적인 미관을 보여주게

된다. 이 지역들은 특정조류와 수생식물들의 먹이와 번식장소로서 5~6종의

희구식물종이 서식하며 지역주민과 관광객에게 아름다운 풍광을 제공하고 있다.


 각급기관과 환경그룹과의 협조를 통해 뉴욕시 환경보호국은 지리정보 시스템

지도를 제작하기 위해 기존의 모래언덕과 해변의 목록을 갱신해 나갈 계획이다.

이 정보는 향후 복원사업 시행자들이 생태계 복원설계를 위해 사용하게 된다.


 o 쓰레기 제거 및 감축 프로그램 확대시행

 뉴욕시 환경보호국은 공원 및 휴게국과 함께 해변과 공원주변의 쓰레기 수거를 9월 노동절 이후까지 연장 실시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지역단체들과

함께 향후 해변청소와 식물복원노력을 계속할 계획이다.


 o 폭우 최적관리 사례 (Stormwater Best Management Practices)

 폭우 최적관리 사례를 통해 주거지, 상가, 그리고 거리등에서 폭우로 쏟아지는

물을 통제하는 것이 혼합하수범람을 줄이고 처리되지 않은 하수가

자마이카 베이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데 효과적이다. 이 계획을 위해 실행된

모델 실험결과 10년 후 빗물을 억제하기 위한 최적관리사례 즉 빗물받기 통,

빗물 정원, 그리고 기존개발지역과 거리 보도들의 풀밭 등은 자마이카베이로

흘러드는 미처리 우수의 6%를 감축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자마이카 베이수역 내 개발에 대한 최적관리 사례 실행 노력은

자마이카 베이로의 미처리 하수방류량을 24%감축할 수 있다. 빗물 지붕억류

또는 녹색지붕 등 대형 지붕 (5000평방피트이상) 에 대한 접근방식은

자마이카 베이로의 방류를 13% 줄일 수 있게 된다. 하수 방류량 감축은

결과적으로 병원균, 영양분, 그리고 독성물질을 포함한 오염물질의 감소를

의미한다.


 o 기존 및 신규개발지역에서의 현장 최적관리사례 사용 홍보

 시 환경보호국은 현장조건, 관리요구사항, 시민반응, 비용 및 효과와 관련한

불확실성을 다루기 위한 몇 가지 예비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시범사업들은

한번 실시되면 그 효과분석을 위해 철저히 모니터링을 실시하게 된다

시범사업에는 다음사항들이 포함되게 된다.

 - 그린루푸(Green Roof)3)

와 불루루프(Blue Roof)4)

 기 기술 의 비교

 - 빗물받이 통 (Rain Barrel)무료 배급 프로그램

 - 주차장 최적관리 사례 예비조사

 - 기존의 주택단지에 대한 주거지역 예비조사

 - 통기성 포장을 위한 예비조사


 시장실 직속 최적관리 사례 타스크 포스팀을 통해 최적관리 사례를 시의

시설물 설치 및 건설에 통합하는 전략이 개발 될 것이다.


 o 지붕 위 빗물 거치 평가

 지붕위의 빗물 거치는 빗물 흐름을 억제하는 칼러 (Collar)를 설치하는 것이다.

설치비용이 얼마 안 됨에도 불구하고 이를 사용하는 건축업자들이 많지 않다.

 시 환경보호국은 허가과정 이전에 지붕 위 빗물억제 시설을 하기위한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다. 또한 자마아키 베이 내 기존 대형 지붕에 대해 지붕위 빗물

억지를 이행하는 프로그램을 추진할 계획이다.


 자마이카 배이지역 내 건축물 중 2.5%의 지붕들이 5000평방 피트 이상이며

수 역 내 전체 지붕면적의 29%를 차지하고 있다.


 o 경제적인 인센티브

 최적관리 실행을 장려하기 위해 특히 기존건축 및 개발업자들에 대해서는

공 공 및 민간 비용 분담, 상하수도 요금 감면 등의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

 「PlaNYC 2030」은 그린루푸에 대한 인센티브를 포함하고 있다.

「PlaNYC 2030」에 따라 시는 그린루프 설치 시 그 비용의 35%를 재산세에서

감면해주 는 방식으로 그린루푸 설치를 지원할 것이다.


 시장실 직속 최적관리사례 타스크 포스팀의 역할은 최적관리사례 실행을

장려할 수 있는 가능한 인센티브를 조사하는 것이며 이는 타스크포스팀의

계획의 한 부분으로 2008년 말 완료할 계획이다.


 기존개발현장에서 최적관리 사례 실행을 촉진하기 위해 시 환경보호국은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위한 장기계획을 수립 할 계획이다.


 o 규정과 설계 규칙 변경


 현행 행정규정 (하수도 및 건축규정)은 홍수와 정체된 하수 등과 관련된

공중 보건문제 발생을 피하기 위하여 폭우를 대지에서 분리하여 하수구로

흐르게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들은 혼합하수 법람을 최소화 하기위한 목적의 폭우흐름 억제 또는

여과에 대한 최적관리사례 사용을 장려하거나 요구하지 않고 있다. 하수규정과

향후 건축 규정은 더 넒은 범위로 최적관리 사례를 적용한 하수설비를 시설 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시 환경보호국은 하수관련 규정을 검토, 조사할 것이며 장차 규정개정을 위해 건축부서 및 다른 부서와 긴밀히 협력할 것이다.

 

뉴욕시 도시계획국 은 최근 18대 이상의 주차구획 또는 6,000평방피트 이상의 면적의 주차장을 가진 주거 상업시설에 적용되는 주차장 설계 기준을 제시한 바 있다.

 

최적관리사례에 근거한 주차장 설계기준



 뉴욕시 환경보호국은 도시계획국과 함께 토지에 흡수되는 물의 여과 기능을

제공하는 가로수와 그 주변조경 같은 설계기준에 폭우 최적관리 사례를

통합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지구 계획 규정에 대한 추가 개정이 예정되어

있는데 이는 신규, 그리고 기존개발지역에서 더 많은 면적의 조경사업과 가로수

식재를 요구하고 있다.


 o 기술 지원

 뉴욕시는 도시환경에 적합한 최적관리 사례 매뉴얼이 하수규정에 맞도록

제작 할 계획이다. 이 매뉴얼은 고밀도 개발지역 배수문제, 하수규정, 허가과정

협의 , 토양, 암반, 지하수 그리고 기온문제를 다루게 된다.

 매뉴얼에는 공공 및 민간 개발사업에 대한 자세한 설계기준을 포함할 것이며

다양한 시의 기관들로 부터의 의견을 들어 개발할 계획이다. 또한

자마이카 베이내 제안된 개발사업을 다루는 특별 항목을 포함하기위해

환경평가기술 매뉴얼을 수정할 계획이다.


최적관리 사례 사용 확대


 o 대로, 소로, 보도를 위한 시범사업

 수변지역 불 침투 표면 분석은 약 30%의 자마이카 베이 수역이 도로와 보도로

덮여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로주변에서 최적관리사례 적용은 높은 수준의

오염원을 함유하는 도로유수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므로 다양한 최저관리사례 시범사업들이 비용, 효과, 주민여론, 관리상의

문제점 그리고 현장조건과 관련한 불확실성을 다루고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될 것이다. 시범사업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프레쉬 크릭, 패르디갓 그리고 락커웨이 교량의 재건을 위한 최적관리사례

- 대로, 소로, 보도의 침투성 웨일(Wale)5)

 설치

 

 - 도로로 부터의 폭우 유입 제지를 위한 인공 늪지

 대로변에 설치된 빗물 흡수용웨일 (Wale)


- 우수 침투를 억제하고 나무식재지역으로 물을 흡수하는 방식의 개량 된

나무심는 구덩이 연구


 o 나무심기 사업

 나무들은 많은 양의 빗물을 억지하고 복합적으로 추가적인 생태적 이익을

제공한다. 많은 나무식재 계획이 추진되고 있으며 「PlaNYC 2030」의 일환으로

추진될 것이다. 「PlaNYC 2030」은 시 전역에 걸쳐 100만 그루의 신규

가로수를 식재하고 자마이카 베이 내에 14개의 녹색거리를 조성하는데 기여했다.


 또 다른 식수노력으로 뉴욕시 동부지역에 향후 10년간 도로의 나무식재

비율을 52%에서 100%로 높이기 위한 계획이 마련되었다. 뉴욕시 동부는

공기질을 높 이기 위해 「공중보건을 위한 나무 프로그램」에 의해

식재지역으로 채택 되었 다.

빗물 흡수방식의 나무심기


 오른쪽 이 개량된 나무심기 방식으로 폭우시 빗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되었다

 o 공지에 대한 시범사업

 공공기관 소유 공한지와 방치된 철도변 지역은 폭우공원 개발을 위해 쓰여

질 수 있다. 폭우공원은 다른 복합적 토지에서의 폭우를 처리하고 추가적인

잇점으로 포켓공원, 그린스페이스 등 다양한 용도를 창출할 수가 있다.

 시 환경보호국은 공한지등에 인공 습지 건설 시범사업을 추진할 것이다.


 o 폭우처리 개선을 위한 기존공원의 회복

 공원, 광장, 같은 기존의 야외 공간들은 폭우 유수를 처리하기위한 조치를

해야한다. 이를 위해 추구해야할 특정 프로젝트들로서는 인근 지역으로부터

폭우흐름을 바꾸는 것과 스프링 필드 공원과 베이슬리 연못공원을

최적관리사례를 적용 건설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o 시민 교육 및 홍보

생태적 지속성은 수변지역에서 살고 일하며 여가를 즐기는 사람들의 행동과

태도에 직결되어있다.

 환경안내자 (Environmental Stewardship)개념은 지역주민들이 환경의 가치를

이해하고 환경자원을 돌보며 자마이카 베이 하구와 수역의 보건을 증진하는

동기를 부여하게 된다.


 주민들이 자마이카 베이를 이해할 때 그들은 환경안내자 인식을 갖게될 것이며

자진해서 그들의 행동을 고치고 수질보호, 건강 그리고 생태과정에 긍정적

효과를 갖는 행동을 취할 것이다.


 실행전략들은 수역 내 주민, 토지소유자, 개발업자, 학생, 방문객, 공무원

그리고 모든 연령층에 대한 기존 교육, 홍보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었다.

 각각의 실행전략은 다음과 같다.


 자마이카 베이 보호, 교육․홍보


 o 자마이카 베이관련 교육 과정 확대

 이 실행 전략은 자마이카 베이 수변지역내의 유치원에서 고등학교까지의

학교 선생과 다른 교육종사자들에게 종합적인 환경교육과정을 제공하기 위해

현재 자마이카 베이 수역 교육협력위원회에서 진행중인 「자마이카 베이

교육자들의 지침서」를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지침서가 한번 완성되면 자마이카 베이와 관련된 중요 과제 등 기존

학습과정과 프로그램을 정비하게 될 것이며 기존 교육과정에서의 미비점을

보완하게 될 것이다.


 o 자마이카 베이 상태에 관한 과학심포지움

 뉴욕시 환경보호국은 뉴욕시 토양 및 수질보존국, 자마이카 베이 연구소와

함께 공식적인 2년 주기의 자마이카베이 상태(State of the Bay)에 관한

심포지움을 개최할 예정이다.

 자마이카 베이 연구소의 심포지움에 관한 2004년 3월 회의가 심포지움

개최의 모델로 이용될 것이며, 공식적 2년 주기의 회의는 지속적 정보공유와

시민과 과학단체간의 협력 그리고 수변지역에 대한 더 많은 연구노력을

강화하게 될것이다.


 o 자마이카 베이 보호를 위한 켐페인

 뉴욕시 환경보호국은 최적관리 사례와 단순오염예방 조치를 통해 개발업자,

주민, 그리고 사업주들에게 자마이카 베이를 어떻게 보호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켐페인을 전개할 것이다.

 첫 단계 조치로서 뉴욕시 환경보호국은 건전한 조경을 장려하고 가정 화학물질

사용을 최소화 하며 현장 폭우 유수관리시설 그리고 물과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시민들의 행동들을 열거한 홍보책자를 제작, 배포할 계획이다.


시민 접근성, 활용도 제고


 o로렐톤(Laurelton) 과 크로스 아일랜드 파크웨이(Cross Island Parkway)산책로

 이 22마일의 파크랜드를 통과하는 통로가 시 공원휴게국과 교통국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 이 로선은 도로 옆에 위치하고 있어 자마이카 베이 수변지역

상류를 통과하고 뉴욕시 다른 지역까지 연결해주는 브르클린과 퀸즈간의

산책로를 이어주게 될것이다.


 o 플로이드 베넷 필드(Floyd Bennett Field)/ 케이트 웨이(Gateway)국립공원


 국립공원국은 게이트 웨이 국립휴양지내에 많은 시설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플로이드 베넷에 있는 방문객 센터 보수와 역사적으로 유명한 격납고 복원들의 사업이 포함되어있다.

 게이트 웨이 국립휴양지


 o 브르클린/퀸즈 그린웨이

 뉴욕시 산책로 계획은 기존공원과 개방수역 문화유적 그리고 기존 자연 및

인공 통로를 통해 코니아일랜드 (Coney Island) 해변을 연결하는 계획을

포함한다. 동부 파크웨이 연장은 브르클린/퀸즈 산책로 건설사업 중 아직

완료되지 않은 부분인데 이를 통해 자마이카 베이 수변에 대한 접근성을 더욱

증진시킬 것이다.


댓글

  • 담당팀 : 국제협력부
  • 담당자 :
  • 연락처 : 02-2170-6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