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동향

  1. 뉴스/소식
  2. 해외동향
프린트 공유하기

해외동향

판매세 부과로 온라인 쇼핑 상품값 오른다

작성자양지현 작성일2012-07-11
판매세 부과로 온라인 쇼핑 상품값 오른다
의회?주정부 법제화 추진 ??? 이르면 내년부터

온라인 상품 가격이 오를 전망이다.

버지니아를 포함한 여러 주가 이르면 내년부터 소비자에게 인터넷으로 물품을 구입할 판매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법안을 통과시켰다고 워싱턴 포스트 (WP) 최근 보도했다. 수도인 워싱턴 DC 다른 주도 같은 법안을 추진 중이다.

민주당 소속의 마틴 오말리 메릴랜드 주지사는 발짝 나가 아이튠 등을 통해 구매하는 음원 등의 디지털 상품에도 세금을 매김 방침이다.

마이크 엔지 (공화?와이오밍) 리처드 더빈 (민주?일리노이) 상원의원이 12명의 다른 의원과 함께 지난해 11 법안을 발의했다. 하원 법사위는 이달 법안에 대한 청문회를 연다.

재정난에 시달리는 정부로서는 매년 230 달러의 수입원이 생기는 셈이라고 주의회 연합체인 주의회전국회의 (NCSL) 밝혔다. 올해 세금을 부과한다면 버지니아주는 42,300 달러, 메릴랜드는 37,600 달러, DC 7,200 달러를 거둬들일 있다.

이런 움직임은 가상공간이 아니라 실제 매장을 가진 오프라인 소매상들로 부터 박수를 받고 있다. 이들은 소비자들이 가게를 찾아와 물건을 비교하고 나서 심지어 현장에서 상품을 스마트폰으로 찍어 값이 온라인 몰에 주문하는 통에 울상을 지어왔다. 소비자와 온라인 사업자에게 쇼룸 효과 제공하는 결과적으로 좋은 일만 시킨다는 것이다.

반면 온라인 사업자들은 실제 수년간 판매세 부과를 면제받아 이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효과를 누렸다. 일부 분석가는 법안이 시행되면 빠르게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사업에도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고 있다. 소비자가 온라인으로 상품을 사면 정부에 신고하고 세금을 내야 하기 때문에 이를 회피할 고안이 실효성이 없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따라서 오프라인 사업자들은 온라인 사업자가 소비자에게서 직접 판매세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온라인 사업자들은 소비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판매세율이 달라 혼란이 가중될 것이라고 반박한다.

법안에 대해 이베이, 오버스톡닷컴, 페이스북 등을 포함한 웹거래 협회는 반대하고 있지만, 아마존닷컴은 백기 투항해 판매세 부과 조치를 지지하는 갈라진 상태다. 아마존은 14 주에서 소비자들에게 판매세를 더해 가격을 매기고 있거나 매길 예정이다. 전통 매장과 온라인 사이트를 함께 운영하는 반스앤노블, 월마트, 타깃 등도 법안을 지지한다.

출처 = 연합뉴스
          
워싱턴 포스트

  • 담당팀 : 국제협력부
  • 담당자 : 박지원
  • 연락처 : 02-2170-6045